팔란티어(PLTR)-매출 2.7B → 2025년 3조 원 시대 열린다

팔란티어가 왜 이렇게 주목받는지,  핵심 사업과 실적을 쉽게 풀어봅니다.

이 포스팅은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권유가 아닌, 기업 분석과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입니다.

 

  1. 기업 요약

회사명

Palantir Technologies(PLTR)

시가총액

USD 4145.67억

부채비율

3.52%

자기자본이익율

19.5%

주요사업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플랫폼 및 보안 솔루션 제공(Gotham / Foundry / AIP)

  1. 올해 수익률

일자

25.01.02

25.11.14

수익률

주가

$75.19

$174.01

131%

  1. 최근 3개년 매출액 및 영업이익

(백만 USD)

연도

2022

2023

2024

매출액

1,906

2,225

2,866

영업이익

-161

120

310

 

팔란티어 주가정보 바로가기<<

  • 기업의 핵심 사업 구조

 

  1. Gotham – 정부국방 AI 플랫폼
  • 미국 국방부CIA·NSA 등 정보기관 전용 데이터 분석 AI 플랫폼
  • 테러 추적, 군사 정보 분석, 위협 탐지, 작전 지휘 등
  • 팔란티어의 절대 핵심 매출원(고마진장기 계약)
  • 경기 불황에도 흔들리지 않는 “국방 기반 캐시카우”
  1. Foundry – 민간 기업용 데이터 AI 플랫폼
  • 제조·의료·물류·에너지·금융 등 다양한 산업군의
  • 데이터 통합 → 분석 → 의사결정 자동화 플랫폼
  • 기업 운영 시스템 전체를 “디지털 뇌”처럼 재구성
  • BMW, Airbus, Merck, Tyson Foods 등이 핵심 고객
  • 기업 고객 매출이 빠르게 증가 중(특히 2024~2025 폭발성장)
  1. AIP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 기업·정부가 LLM·AI 모델을 실제 업무에 안전하게 적용하도록 설계
  • 보안·데이터 거버넌스AI 안전성에서 독보적
  • 삽시간에 고객사 600개+ 확보
  • “AI 도입 속도가 가장 빠른 B2B 플랫폼”으로 평가

 

  • 시장에서의 포지션

 

  1. 미국 국가안보 분야에서 독보적
  • 테러리스트 추적
  • 실시간 작전 시뮬레이션
  • 신호·정찰·이미지 데이터 결합 분석
  • 군 지휘 및 전장 분석
  • 팔란티어는 “정부국방 AI 시장의 표준”이자 사실상 독점기업이다.
  1. AIP(AI Platform)의 등장
  • AIP는 기업이 AI를 실제 업무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핵심 문제 해결 가능
  • 보안
  • 데이터 권한
  • 모델 안전성
  • 실시간 의사결정 연결
  • 자동화 파이프라인
  1. 팔란티어는 AI 시대에 ‘중간자’가 아니라 ‘중추(허브)’
  • 많은 기업은 AI 모델 제공자(OpenAI, Anthropic)나 라우드(AWS, MS, Google)에 의존
  • 하지만 팔란티어는 반대로
  • 이 모든 플랫폼과 상호 호환되며
  • 모델을 선택
  • 데이터를 연결
  •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
  • 보안을 관리
  • 실시간 의사결정을 실행

 

  • 경쟁사 비교

 

  1. 경쟁사와 비교되는 팔란티어의 절대 우위 요소(질문형 분석)

Q1. 데이터 운영까지 전사(全社)가 사용하는가?

  • Snowflake → X
  • Databricks → X
  • AWS/Azure/GCP → X
  • OpenAI/Anthropic → X
  • Palantir → O

Q2. AI 모델을 실제 업무 프로세스(생산·물류·국방)에 직접 연결해 자동화하는가?

  • Snowflake → X
  • Databricks → X
  • AWS/Azure/GCP → X
  • OpenAI → X (모델 제공자일뿐 적용은 못함)
  • Palantir → O

Q3. 보안 등급이 국방·정보기관 수준인가? (Top Secret/Tier 5급)

  • Snowflake → X
  • Databricks → X
  • AWS/Azure/GCP → 일부 DoD 인증 있으나 “업무 시스템”은 아님
  • OpenAI → X
  • Palantir → O

Q4.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이 아니라 ‘기업 운영체제(OS)’ 역할인가?

  • Snowflake → X (단순 저장)
  • Databricks → X (분석ML 엔진)
  • AWS/Azure → X (인프라)
  • OpenAI → X (모델 제공)
  • Palantir → O (운영체제급전사 자동화)

Q5. LLM(OpenAI·Anthropic·Llama)을 모두 통합해 하나의 플랫폼에서 운영 가능한가?

  • Snowflake → X
  • Databricks → X
  • AWS/Azure/GCP → X
  • OpenAI → X
  • Palantir → O

Q6. 데이터 권한·보안·AI 안전성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가?

  • Snowflake → X
  • Databricks → X
  • AWS/Azure/GCP → 일부 가능(하지만 운영 자동화는 자체 구축 필요)
  • OpenAI → X
  • Palantir → O

Q7. 전쟁·국가 위기 등 ‘실전 환경’에서 검증된 AI 플랫폼인가?

  • Snowflake → X
  • Databricks → X
  • AWS/Azure/GCP → 인프라 제공
  • OpenAI → X
  • Palantir → O (우크라이나 전쟁CIA·미 공군·특수전)

Q8. 도입 후 기업 전체 프로세스가 개편될 정도로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는가?

  • Snowflake → X
  • Databricks → X
  • AWS/Azure → X
  • OpenAI → X
  • Palantir → O

Q9. 고객 락인(Lock-in)이 OS급으로 높은가?

  • 나머지 기업들 → 중간 또는 낮음
  • Palantir → 매우 높음 (운영체제이기 때문)

 

  • 산업 트렌트 & 흐름

 

  1. 엔터프라이즈 AI 도입의 본격화
  • 전 세계 기업들이 단순 자동화 수준을 넘어 운영·생산·공급망·리스크 관리 전체에 AI를 적용하는 단계로 전환 중. 데이터가 시스템 곳곳에 흩어져 복잡해지면서 데이터 통합 + 의사결정 자동화 플랫폼 수요가 빠르게 증가.
  1. 국방안보·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환 가속
  • 미·중 갈등, 전쟁, 사이버 공격 확대로 국방·정보기관의 실시간 AI·데이터 시스템 투자가 구조적으로 확대되는 중. 공공부문은 소규모 파일럿이 아닌 전장·첩보·위기 대응에 직접 쓰는 AI 시스템을 요구하는 단계로 진입.
  1. AI 규제보안·거버넌스 강화 흐름
  • 글로벌 규제 환경이 강화되면서 보안·데이터 권한감사 로그·AI 안전성이 기업 선택 기준으로 떠오름. 고신뢰·고보안 엔터프라이즈 AI 플랫폼”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1. 데이터 폭증과 레거시 시스템의 한계
  • 기업 데이터는 계속 늘어나지만 여러 시스템에 쌓여 있는 데이터가 연결되지 않아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만들기 어려운 구조가 고착화됨. 기존 ERP·CRM 중심 운영 방식에서 데이터 기반의 실시간 의사결정 체계로의 전환 필요성이 확대됨.

 

  • 리스크

 

  1. 정부국방 매출 비중에 따른 변동성
  • 팔란티어 매출은 미국 정부국방·정보기관 비중이 높아 정책 변화·예산 조정·정권 교체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크다. 공공부문은 승인 절차와 수주 주기가 길어 예측 가능성이 낮다.
  1. 도입 비용과 구축 난이도에 따른 확장성 제한
  • 팔란티어는 대기업정부기관 중심의 고난도 구축형 플랫폼이다. 초기 비용이 높고 커스터마이징 범위가 넓어 중소·중견 기업 확장 속도가 느리다. 고객 확보는 빠른 볼륨 확장보다 깊은 단일 프로젝트 중심으로 진행된다.
  1. 엔터프라이즈 AI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 AWS, Microsoft, Google을 포함한 빅테크가 엔터프라이즈 AI에 적극 투자하며 데이터 기업(Snowflake·Databricks)도 자동화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고객사는 팔란티어와 빅테크 중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늘고 있어 경쟁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
  1. 제품 복잡성으로 인한 학습운영 장벽
  • 팔란티어 플랫폼은 기능이 방대하고 구조가 복잡하다. 기술 인력이 부족한 조직에서는 도입활용 속도가 느리다. 단순한 자동화 플랫폼 대비 초기 사용 진입 장벽이 높다.
  1. 고정 비용 구조가 유지되는 수익성 리스크
  • 팔란티어는 R&D·보안 인증고급 인력 중심 구조로 고정비 비중이 높다. 대형 프로젝트 종료 시 실적 변동폭이 커질 수 있다.규모의 경제가 빠르게 나타나는 SaaS 모델과 다른 성장 궤도를 보인다.
  1. 국방·첩보 영역에 따른 정치윤리 리스크
  • 팔란티어는 군사정보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으로서 정치적 비판·감시 기술 관련 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정치 환경 변화에 따라 기업 이미지와 기관 투자자 관점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1. LLM 생태계 변화에 대한 외부 의존성
  • 팔란티어 AIP는 여러 LLM을 통합하지만 OpenAI·Anthropic 등 모델 제공자의 가격정책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LLM 기업이 자사 생태계를 강화하면 팔란티어의 기술 전략에도 조정이 필요해질 수 있다.

 

  • 주요 뉴스

 

  1. 팔란티어, 스태그웰과 파트너십 체결
  • 팔란티어는 스태그웰과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이번 협업은 팔란티어 Foundry 플랫폼과 스태그웰의 마케팅 데이터를 연동하는 형태다. 기업은 이를 통해 중앙화된 타겟팅 정보를 활용하고, AI 기반 마케팅 업무에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1. 엔디비아, 크라우드스트라이크 팔란티어 협력 발표
  • 크라우드스트라이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AI 시대의 사이버 보안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팔란티어는 데이터를 인간의 판단과 결합해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기업으로, 엔비디아는 이들의 데이터 처리와 분석 속도를 극적으로 가속화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1. 실적발표
  • 팔란티어는 3분기 실적에서 전년 대비 63% 증가한 매출을 발표하며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또한 회사는 연간 매출 전망을 44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약 3% 하락했다. 실적 발표 직후 주가가 일시적으로 7% 상승했다가 하락으로 전환된 움직임이 있었다는 내용이 함께 전해졌다.

팔란티어 주요뉴스 바로가기<<

  • 투자 의견

  1. 목표가
  • HSBC $181 → $197
  1. 결론
  • 84개의 의견 중 41개 매수 의견
  •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HOLD 의견도 다수 존재